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로플라스틱 욕실 만들기

by 람보정보 2025. 9. 6.

하루를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공간, 바로 욕실입니다.

칫솔, 치약, 샴푸, 바디워시, 스펀지 등 욕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제품은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습니다.

한 가정이 1년 동안 욕실에서 배출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만 해도 수십 킬로그램에 달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환경보호단체 플라스틱오션(Plastic Oceans)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40%가 일회용 포장재와 생활용품에서 나오며,

그중 욕실 제품 비중도 상당히 높습니다.

우리가 매일 쓰는 칫솔 하나가 썩는 데만 무려 400년이 걸린다고 하니,

욕실은 사실상 ‘플라스틱 발생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다행히도 최근에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면서도

충분히 위생적이고 편리한 ‘제로플라스틱 욕실’ 솔루션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욕실 속 플라스틱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친환경 제품과 실천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욕실 속 플라스틱 문제

  • 칫솔: 대부분 플라스틱 손잡이와 나일론 모로 구성, 수백 년간 분해되지 않음.
  • 치약 튜브: 다층 플라스틱 소재로 재활용 어려움.
  • 샴푸·바디워시 용기: 매년 수십억 개가 버려짐.
  • 면도기: 일회용 플라스틱 면도기는 재활용 불가.

2. 제로플라스틱 욕실을 위한 대체 제품

기존 제품 환경 문제 대체 제품
플라스틱 칫솔 400년 이상 분해 기간 대나무 칫솔
치약 튜브 재활용 어려움 고체 치약, 치약 정제
샴푸·바디워시 용기 매립·소각 시 오염 고체 샴푸·바디바
일회용 면도기 재활용 불가 스테인리스 면도기, 교체형 면도날
플라스틱 수세미 미세플라스틱 발생 천연 섬유 수세미(코코넛 섬유, 삼베)

※ 자료: Plastic Oceans, 환경부(2024)

3. 실천할 수 있는 제로플라스틱 습관

  1. 대나무 칫솔 사용: 손잡이는 생분해 가능, 사용 후 퇴비화 가능.
  2. 치약 정제 활용: 종이 포장으로 플라스틱 배출 최소화.
  3. 고체 샴푸·바디바: 플라스틱 용기 불필요, 여행 시에도 편리.
  4. 재사용 면도기: 한 번 구입하면 수년간 사용 가능.
  5. 천연 소재 목욕용품: 해면, 코코넛 섬유 수세미 등으로 교체.

4. 제로플라스틱 욕실 체크리스트

  • 🪥 칫솔은 플라스틱 대신 대나무 제품으로.
  • 🧼 샴푸·린스는 고체바로 교체.
  • 🪒 면도기는 일회용 대신 교체형 면도날 사용.
  • 🚿 세면도구는 리필 스테이션을 적극 활용.
  • ♻️ 비누받침·칫솔꽂이도 플라스틱 대신 세라믹이나 금속 제품 선택.

5. 마무리 — 작은 욕실 습관이 만드는 거대한 변화

욕실은 매일 사용하는 공간이기에, 작은 변화가 쌓이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큽니다.

대나무 칫솔로 교체하고, 고체 샴푸를 사용하는 단순한 습관만으로도

1년 동안 수십 개의 플라스틱 용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칫솔 하나라도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해 보세요.

여러분의 욕실이 바뀌는 순간, 지구도 조금 더 가벼워질 수 있습니다.